Pressure Sore Clinic

욕창 클리닉

Pressure Injury

욕창 압박궤양

특정 신체 부위 특히 뼈에 의한 돌출 부위에 지속적 또는 반복적 압박이 가해질 때 생기는 허혈성 조직 괴사, 궤양 등 하 조직이 손상된 상태이다. 욕창이란 말은 decubitus (to lie down)란 라틴어에서 유래된 것이며 장기 외상 환자에게 호발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장기간 누워 있다고 욕창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1873년 궤양의 주원인이 압박이라는 사실이 밝혀져서 압박 궤양 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오늘 날에는 압박 궤양이란 단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피부 및 피부 밑 조직이 계속 눌려 초래된 혈액순환 장애로 생기는 궤양을 욕창이라고 한다. 장기 외상 환자의 경우 신체 일부가 침대와 침구에 오랫동안 눌리거나 쏠릴 때 혈액순환 장애에 의해 초래되며 주로 팔꿈치, 엉덩이, 골반 등 뼈가 튀어나온 부위에 생기기 쉽다.

욕창의 증상

욕창은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 가능하나 주로 엉치뼈, 넓적 다리뼈의 큰 돌기, 궁둥뼈 결절, 무릎뼈, 발꿈치, 정강뼈 등의 뼈의 돌출부 즉 압박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에 유발합니다. 환자가 잘 취하는 자세에 따라 발생 부위가 달라집니다. 압력을 받는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그 부위의 피부에 오려 낸 듯한 궤양이 형성되고, 곧이어 피부의 괴사를 볼 수 있습니다.

Therapy

외과적 치료

괴사 조직의 제거

욕창 상처에서 죽거나 감염된 조직은 치유를 방해하고, 병원균을 증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죽은 조직은 혈관 분포가 없기 때문에 국소적 항생제를 사용하더라도 치료적 효과를 볼 수는 없습니다. 죽어버린 괴사 조직 제거법으로는 기계적인 방법, 효소적인 방법, 자가용해적 방법, 수술적 방법 등이 있습니다. 환자의 건강상태, 욕창의 상태, 감염 유무, 시술에 대한 환자의 내성 여부를 기초로 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때로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환자의 상태가 수술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차라리 보존적으로 간호와 상처 관리를 잘 해주는 편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